Skip to content

🏦 국채의 종류와 특성

의의 및 제도변천 | 한국 국채 | 2025.03.04

1️⃣ 국채의 다양한 종류

한국 정부는 현재 다섯 가지 종류의 국채를 발행하고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국고채권(국고채)

특성

  • 각 기금 및 회계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발행
  • 한국 채권시장을 대표하는 지표채권 역할
  • 국가재정자금 조달의 핵심 수단
  • 경쟁입찰을 통해 주로 발행

종류

  • 고정금리 이표채: 2년, 3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 만기
  • 물가연동국고채: 10년 만기

2. 개인투자용 국채

특성

  • 국채수요 다변화 및 개인의 안정적 자산형성 지원 목적
  • 2024년 6월 최초 발행
  • 매입 자격을 개인으로 한정하는 저축성 국채 형태
  • 청약방식으로 발행
  • 10년, 20년 만기로 발행

3. 재정증권

특성

  • 정부의 일시적인 재정부족자금 보전 목적
  • 만기 1년 이내의 할인채 형태
  • 표면이자 0%
  • 경쟁입찰 방식으로 발행

4. 외국환평형기금채권

특성

  • 국제금융시장에서 한국 채권의 기준금리 제시 및 한국 홍보 목적
  • 주로 해외 채권시장에서 외화표시채권으로 발행
  • 2025년부터는 원화표시채권도 발행 예정

5. 국민주택채권(제1종)

특성

  • 국민주택건설 재원 마련 목적
  • 주택도시기금법에 의해 첨가소화 방식으로 발행
  • 5년 만기, 표면이자 1.30%

2️⃣ 국고채의 세부 특성

✅ 만기별 발행 주기

  • 2년물: 3개월마다 신규물 발행
  • 3년물, 5년물, 10년물(지표채권), 30년물: 6개월마다 신규물 발행
  • 20년물: 1년마다 신규물 발행
  • 50년물: 격월로 정례 발행

✅ 물가연동국고채

  • 2007년 3월 인수단 방식으로 최초 발행
  • 원금과 이자를 물가에 연동시켜 물가변동위험 제거
  • 투자자의 실질구매력 보장
  • 일시 중단 후 2010년 6월 비경쟁인수방식으로 재개
  • 2021년부터 경쟁입찰 방식으로 전환하여 시장 활성화 도모

3️⃣ 국채 발행 현황 (2024년 말 기준)

  • 총 국채 발행량: 224.1조 원
  • 국고채 비중: 70.4%(157.7조 원)
  • 재정증권 비중: 22.2%(49.8조 원)
  • 국민주택채권 비중: 6.3%(14.1조 원)
  • 개인투자용 국채: 0.3%(0.7조 원)
  • 외국채: 0.8%(1.8조 원)

4️⃣ 시장에서의 비중

  • 전체 채권 발행잔액 중 국고채 비중: 40.7%
  • 전체 채권 거래량 중 국고채 비중: 59.1%

Made by haun wi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