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의
국고채 발행시장 | 한국 국채 | 2025.03.10
1️⃣ 국고채의 발행 형태
국고채는 고정된 원금과 이자가 지급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국고채와 원금과 이자가 물가에 연동되는 물가연동국고채 형태로 발행되고 있다.
일반 국고채 만기 구조
- 2년, 3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 만기 국고채
물가연동국고채
- 만기 10년으로 발행
2️⃣ 입찰 방식의 정례화
국고채 입찰은 수요자의 예측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례 실시하며, 각 만기별로 고정된 입찰일을 운영하고 있다:
만기 | 정기 입찰일 |
---|---|
2년 | 매월 첫째 월요일 |
3년 | 매월 둘째 월요일 |
5년 | 매월 넷째 월요일 |
10년 | 매월 셋째 월요일 |
20년 | 매월 넷째 화요일 |
30년 | 매월 첫째 화요일 |
50년 | 매월 둘째 금요일 |
물가연동국고채 | 격월(짝수월) 첫째 금요일 |
3️⃣ 발행 구조와 특성
이표채 형태
- 국고채는 모두 표면이자율이 이자지급일에 지급되는 이표채 형태로 발행
- 이자지급주기는 6개월로 고정
통합발행제도
- 국고채는 통합 발행되고 있으므로 국고채 입찰일과 관계없이 발행일이 정해짐
- 예: 2024년 6월~11월 사이에 발행되는 3년 만기 국고채의 발행일은 2024년 6월 10일로 통일
- 최초 이자는 발행일로부터 6개월 후 지급 (위 예시의 경우 2024년 12월 10일)
4️⃣ 발행계획의 투명성
연간 발행계획
- 매년 전년도 12월에서 당해 연도 1월 사이에 발표
- 포함 내용:
- 연간 국고채 총 발행물량
- 만기물별 발행 비중
- 새로 도입되거나 개정되는 주요 정책
월간 발행계획
- 전월 말일까지 발표 (통상 전월 마지막 목요일)
- 포함 내용:
- 신규 발행되거나 바이백 및 교환되는 종목
- 입찰일시
- 발행 규모
5️⃣ 발행 사무 체계
국고채의 발행, 상환, 교환, 원리금 지급 및 이와 관련된 공고, 입찰, 등록, 상장신청 등 국고채 발행사무는 국채법에 따라 정부를 대신하여 한국은행이 수행하고 있다.
전자화된 발행시스템
- 국고채 발행사무는 한국은행 금융결제망(BOK-Wire+)으로 이루어짐
- 입찰참가기관인 국고채전문딜러와 예비국고채전문딜러는 BOK-Wire+ 단말기를 이용하여:
- 입찰정보의 조회
- 응찰
- 낙찰결과 수신 및 확인
- 낙찰대금 납부
- 등록 신청 등을 수행
6️⃣ 국고채 발행시장의 의의
국고채 발행시장은 국가재정자금 조달의 핵심적인 수단이자 국내 채권시장에서 지표채권(Benchmark)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시장이다.
정부는 투자자의 예측성을 높이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국고채 발행을 위해 사전 발행계획 공지, 정례 입찰 실시, 통합발행제도 운영 등 다양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